부산시는 코로나19로 피해를 본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에게 1인 당 100만 원을 지급하기로 했다.
부산시는 25일 “전년도 연 매출액이 3억 원 이하인 부산 소재 소상공인·자영업자 18만 6000명을 대상으로 1인 당 100만 원씩 긴급 민생지원금을 지급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부산시는 “이번 긴급 민생지원금의 예산은 총 1856억 원으로 연 매출 3억 원 이하 사업체 18만 5585개에 지급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연 매출이 3억 원 이하라 해도 사업장과 주민등록 모두 부산 지역에 등록돼 있지 않으면 지원되지 않는다.
지원 대상에 해당하는 소상공인은 4월 6일부터 자신의 거주지 구·군(읍·면·동) 주민센터를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 긴급 민생지원금은 구·군의 심사 후 지급된다.
부산시는 “선거사무 등으로 인한 업무가 과중한 주민센터 사정을 고려해 공무원과 청년 일자리 사업을 통한 인력 모집 후 지원할 계획”이라며 “사회적 거리두기의 취지에 맞게 온라인 신청 등을 검토해 신청자의 안전과 편의도 최대한 보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긴급 민생지원금 지원은 부산시의 긴급 재정 지원 정책 3단계 중 2단계 정책이다. 부산시는 “긴급 민생지원금 정책은 코로나19사태로 인한 국민적 피해와 사회적 ‘거리두기’의 장기화로 직격탄을 맞은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들을 지원하기 위한 비상응급조치”라고 말했다.
한편, 부산시는 1단계 긴급 재정 지원 정책에서 긴급 추경을 통해 취약계층 지원과 소상공인 3대 부담 경감 대책을 시행하고 있다.
부산시는 1·2단계 지원대책에서 소외된 특수고용노동자와 프리랜서, 코로나19로 인한 무급휴직 노동자 등을 위한 3단계 지원대책을 준비 중이다. 부산시는 “3단계는 3만 명을 대상으로 코로나 추경을 통해 156억 원을 우선 지원하고 부족분은 국비 추가 요청 및 시비 2차 추경을 확보해 지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오거돈 부산시장은 “한정된 예산을 어디에 투입할 것인가는 가장 중요한 결정과 동사에 가장 어려운 결정”이었다며 “긴급 민생지원금은 피해에 대한 보상이 아니라 부산 시민 모두가 드리는 작은 위로와 위기 극복을 위해 조금만 더 참아달라는 간절한 응원”이라며 ‘사회적 거리두기’에 적극적으로 협조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