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5건) 리스트형 웹진형 타일형 전체기사 뉴스 기획 황령산칼럼 오피니언 카드뉴스 동영상 콘텐츠 DB [진재운 칼럼] 독성지식으로는 지구위기 문제 풀지 못한다 [진재운 칼럼] 독성지식으로는 지구위기 문제 풀지 못한다 ‘독성지식’ 이라는 말이 있습니다.지식이 스스로의 삶에도, 세상에도 도움이 되지 못하고, 생각을 오염시켜 자신에게도 세상에게도 해가 되는 것입니다. 이런 지식의 독성으로 한번 오염된 생각은 혈관을 타고 전신으로 퍼져 나가 결국 자신도 세상도 파멸에 이를 수 있다는 것입니다.지금 세상에는 무엇이 ‘독성지식’이고 그 독성지식은 어떻게 작용할까요? 지금 하루가 다르게 세상에 퍼져나가고 있는 ‘기후위기’에 대입해 보면 어떨까요?영화 '인터스텔라'와 독성지식 다양한 매체를 통해 쏟아져 나오는 기후변화에 대한 소식들이 어떤 모습을 하고 있고, 진재운 칼럼 | 진재운 KNN 대기자 | 2022-04-11 09:08 [진재운 칼럼] ’After Freedom’... 언론자유를 묻는다 [진재운 칼럼] ’After Freedom’... 언론자유를 묻는다 ’After Freedom’.단어장에 없습니다.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이 단어는 인도 출신 한국인 꾸마르 전 부산국제교류재단 총장과의 대화에서 처음 들은 것입니다. 언론이 맘 놓고 기사를 쓸 수 있는 자유를 얻었지만 정작 자유를 만끽한 기사가 흉기가 될 수 있음을 지적한 것입니다. 사회적 책임도 함께 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기사가 공정하라는 것이지요. 하지만 국내 언론의 현실은 ‘그렇지 않다’입니다. 언론의 자유도는 높지만 신뢰도는 여전히 OECD 국가 중 최하위 수준을 면치 못하는 것을 보면 잘 알 수 있습니다.“우리는 보았다 진재운 칼럼 | 진재운 KNN 대기자 | 2022-03-06 10:26 [진재운 칼럼] 존재를 위대하게 하는 '감동의 힘' [진재운 칼럼] 존재를 위대하게 하는 '감동의 힘' “작아지는 것은 거대해 지는 것이다.”걸리버 여행기가 아닙니다. ‘감동’할 때 나타나는 인식의 변화입니다. 감동할 때 자신은 작아지고 감동의 대상은 무한히 커지면서 동시에 작아진 자신도 감동의 크기만큼 커져가는 것입니다.이라는 책에 이런 이야기가 나옵니다. ‘밀림의 원숭이는 소름 돋는 전율을 느끼기 위해 가장 높은 나무 위로 올라가 아침노을을 기다린다.’전 지역 공중파 TV에서 일하고 있지만 정작 TV는 다큐멘터리 장르만 보는 지독한 편식형의 시청자입니다. 하지만 최근 한 방송사의 가수들의 오디션 프로 진재운 칼럼 | 진재운 KNN 대기자 | 2022-01-30 21:11 [진재운 칼럼] 건강해지려면 ‘의심을 의심하라’ [진재운 칼럼] 건강해지려면 ‘의심을 의심하라’ ‘Doubt is our product.(의심이 우리의 상품이다.)’이 말을 풀어 보면 사람들에게 ‘의심을 불러 일으켜야 한다.’가 됩니다. ‘사람들에게 의심하게 만들면 이긴다.’가 되겠지요. “의심하게 하라.” 어디에 쓰이는 물건일까요? 질문 유도를 위한 공부 방법일까요? 아닙니다. 바로 ‘전미낙농협회’의 보고서에 나온 한 줄짜리 전략입니다.다큐멘터리 ‘WHAT THE HEALTH’를 보면 ‘우유와 건강’에 대해 나옵니다. 우유는 키를 키우고, 뼈도 튼튼하게 하고, 머리도 좋게 하고 등 등, 뭐 이런 문구는 어릴 적부터 들어오던 진재운 칼럼 | 진재운 KNN 대기자 | 2021-12-20 08:46 [진재운 칼럼] 먹는 음식과 빛, 그리고 건강수명 [진재운 칼럼] 먹는 음식과 빛, 그리고 건강수명 “때가 되면 나도 가벼워 질 것이다.”세계적 사진가이자 우포늪 사진을 찍는 정봉채 작가님이 쓴 책 '지독한 끌림'에 나오는 한 구절입니다. 그 때가 되면 가벼워진다는 것, 과거보다 지금보다 더 가벼워지는 것, 갈 때를 알고 갈 준비를 게을리 하지 않는다는 의미로 읽었습니다.오늘 아침 밥상에 무엇이 올라왔는가요? 바빠서 그냥 건너뛰었을 수도 있고, 과일 한 조각, 우유에 토스트 한 조각, 아니면 김치찌개에 소고기 장조림 밥상일 수도 있겠지요. 모두가 아는 이야기지만 모든 음식은 ‘가볍거나 무겁습니다.’ 많이 먹어도 몸이 가볍게 느껴지 진재운 칼럼 | KNN 대기자 진재운 | 2021-11-14 18:02 처음처음1끝끝
[진재운 칼럼] 독성지식으로는 지구위기 문제 풀지 못한다 [진재운 칼럼] 독성지식으로는 지구위기 문제 풀지 못한다 ‘독성지식’ 이라는 말이 있습니다.지식이 스스로의 삶에도, 세상에도 도움이 되지 못하고, 생각을 오염시켜 자신에게도 세상에게도 해가 되는 것입니다. 이런 지식의 독성으로 한번 오염된 생각은 혈관을 타고 전신으로 퍼져 나가 결국 자신도 세상도 파멸에 이를 수 있다는 것입니다.지금 세상에는 무엇이 ‘독성지식’이고 그 독성지식은 어떻게 작용할까요? 지금 하루가 다르게 세상에 퍼져나가고 있는 ‘기후위기’에 대입해 보면 어떨까요?영화 '인터스텔라'와 독성지식 다양한 매체를 통해 쏟아져 나오는 기후변화에 대한 소식들이 어떤 모습을 하고 있고, 진재운 칼럼 | 진재운 KNN 대기자 | 2022-04-11 09:08 [진재운 칼럼] ’After Freedom’... 언론자유를 묻는다 [진재운 칼럼] ’After Freedom’... 언론자유를 묻는다 ’After Freedom’.단어장에 없습니다.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이 단어는 인도 출신 한국인 꾸마르 전 부산국제교류재단 총장과의 대화에서 처음 들은 것입니다. 언론이 맘 놓고 기사를 쓸 수 있는 자유를 얻었지만 정작 자유를 만끽한 기사가 흉기가 될 수 있음을 지적한 것입니다. 사회적 책임도 함께 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기사가 공정하라는 것이지요. 하지만 국내 언론의 현실은 ‘그렇지 않다’입니다. 언론의 자유도는 높지만 신뢰도는 여전히 OECD 국가 중 최하위 수준을 면치 못하는 것을 보면 잘 알 수 있습니다.“우리는 보았다 진재운 칼럼 | 진재운 KNN 대기자 | 2022-03-06 10:26 [진재운 칼럼] 존재를 위대하게 하는 '감동의 힘' [진재운 칼럼] 존재를 위대하게 하는 '감동의 힘' “작아지는 것은 거대해 지는 것이다.”걸리버 여행기가 아닙니다. ‘감동’할 때 나타나는 인식의 변화입니다. 감동할 때 자신은 작아지고 감동의 대상은 무한히 커지면서 동시에 작아진 자신도 감동의 크기만큼 커져가는 것입니다.이라는 책에 이런 이야기가 나옵니다. ‘밀림의 원숭이는 소름 돋는 전율을 느끼기 위해 가장 높은 나무 위로 올라가 아침노을을 기다린다.’전 지역 공중파 TV에서 일하고 있지만 정작 TV는 다큐멘터리 장르만 보는 지독한 편식형의 시청자입니다. 하지만 최근 한 방송사의 가수들의 오디션 프로 진재운 칼럼 | 진재운 KNN 대기자 | 2022-01-30 21:11 [진재운 칼럼] 건강해지려면 ‘의심을 의심하라’ [진재운 칼럼] 건강해지려면 ‘의심을 의심하라’ ‘Doubt is our product.(의심이 우리의 상품이다.)’이 말을 풀어 보면 사람들에게 ‘의심을 불러 일으켜야 한다.’가 됩니다. ‘사람들에게 의심하게 만들면 이긴다.’가 되겠지요. “의심하게 하라.” 어디에 쓰이는 물건일까요? 질문 유도를 위한 공부 방법일까요? 아닙니다. 바로 ‘전미낙농협회’의 보고서에 나온 한 줄짜리 전략입니다.다큐멘터리 ‘WHAT THE HEALTH’를 보면 ‘우유와 건강’에 대해 나옵니다. 우유는 키를 키우고, 뼈도 튼튼하게 하고, 머리도 좋게 하고 등 등, 뭐 이런 문구는 어릴 적부터 들어오던 진재운 칼럼 | 진재운 KNN 대기자 | 2021-12-20 08:46 [진재운 칼럼] 먹는 음식과 빛, 그리고 건강수명 [진재운 칼럼] 먹는 음식과 빛, 그리고 건강수명 “때가 되면 나도 가벼워 질 것이다.”세계적 사진가이자 우포늪 사진을 찍는 정봉채 작가님이 쓴 책 '지독한 끌림'에 나오는 한 구절입니다. 그 때가 되면 가벼워진다는 것, 과거보다 지금보다 더 가벼워지는 것, 갈 때를 알고 갈 준비를 게을리 하지 않는다는 의미로 읽었습니다.오늘 아침 밥상에 무엇이 올라왔는가요? 바빠서 그냥 건너뛰었을 수도 있고, 과일 한 조각, 우유에 토스트 한 조각, 아니면 김치찌개에 소고기 장조림 밥상일 수도 있겠지요. 모두가 아는 이야기지만 모든 음식은 ‘가볍거나 무겁습니다.’ 많이 먹어도 몸이 가볍게 느껴지 진재운 칼럼 | KNN 대기자 진재운 | 2021-11-14 1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