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가는 ‘다문화가정’과 부실한 교육환경
상태바
늘어가는 ‘다문화가정’과 부실한 교육환경
  • 김지웅
  • 승인 2013.01.16 13: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반학생에 비해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진학률 떨어져... 대안학교가 설립되어도 경제적 문제로 포기

‘2020년 한국 어린이 9명중 1명은 혼혈아'라는 NY타임스 보도처럼 국내 다문화가정이 늘고 있으나, 이들이 살아가는데 자녀들의 교육문제와 함께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다문화가정에서 태어난 자녀들은 부족한 학교 시설과 교육환경에 의해 한국생활에 쉽게 적응하지 못하고 있다.

통계청 조사결과 '다문화가정'의 자녀는 2008년 12월 5만8천7명에서, 작년 5월 10만7천689명으로 크게 늘었다. 다문화가정의 학생 수 역시 1만8778명으로 전년보다 39.7% 늘었다. 2005년(6121명)과 비교하면 3년 만에 3배가량 증가했다. 하지만 다문화가정의 자녀의 수는 10만7천명을 넘어가는데, 학생의 수는 2만명도 되지 않는다.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이 학교를 등지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다문화가정의 수는 날이 갈수록 늘어가지만, 반대로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재학률은 떨어지고 있다. 일반학생 초·중·고교 재학률이 각각 98%, 96%, 92%인데 반해 다문화가정 출신 초등학생은 재학률이 86%, 중학생은 84%였지만 고등학생은 70%에 그쳤다. 그리고 다문화 가정 자녀의 초등학교 중퇴율은 15.4%로 전체 평균의 22배에 달한다.

‘중국인’ 어머니와 ‘한국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나 일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박현욱(15) 학생은 “어머니가 한국말이 서투르고, 저를 ‘혼혈’이라고 놀리는 친구들의 눈치가 보여서 학교 다니기가 힘듭니다.”라고 말했다. 보건복지가족부의 조사 결과를 보면, 학생인 자녀를 둔 결혼이민자의 73.5%가 자녀교육에 어려움을 느낀다고 답했다. 학원비 마련이 27.4%로 가장 힘들고 예습ㆍ복습지도(23.2%), 숙제지도(19.8%)에도 어려움을 느꼈다.

이와 같이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이 학교와 멀어지는 사태를 막기 위해서 ‘다문화 대안학교’라는 이름의 ‘대체학교’들이 설립되고 있다. 그러나 다문화가정의 소득수준이 일반인들의 평균수준(전국 가구소득 337만원) 보다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보건복지가족부가 17일 발표한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다문화 가족의 60%가 월평균 200만원 미만의 소득으로 생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100~200만원 미만이 38.4%로 가장 많았고, 100만원 미만도 21.3%를 차지했다.

부산광역시교육청 교육과의 김수진(47)씨는 “일부 대안학교의 연간 등록금은 800만원에서 1000만원까지도 합니다. 대안학교는 일반학교보다 학생의 수가 적고, 아직 국가적인 지원이 적기 때문에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한국 사회에서 늘어가는 다문화가정이지만, 부실한 교육환경과 어려운 경제형편으로 다문화가족 부부의 희망 자녀수도 0.5명으로 줄어들었다. 이는 ‘저출산’이 문제가 되고 있는 우리나라 가구당 평균 자녀수인 1.7명에도 못 미치는 수치다.

미국의 경우 이민자나 그 자녀들은 어학코스를 밟게 하거나 학교 안에 특별반을 운영, 집중교육하는 시스템을 갖고 있다. 이를 통해 이민자와 자녀들은 언어문제를 상당 부분 해소하고 미국사회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게 된다. 일본의 경우도 이와 다르지 않다. 2년 전, 후쿠오카에서 일본인과 결혼해 딸을 출산한 김효진(28)씨는 “일본의 경우 혼혈아에 대해 관대한데 비해, 한국은 아직도 일본 ‘혼혈아’라고 하면 무조건적으로 거부 반응을 일으킨다. 그리고 교육문제도 일본에 비해서 부족하다.”고 말했다.

우리도 다문화가정 자녀만을 위한 대안학교나 정규 학교 내에 이들만을 위한 맞춤형 학급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부산 아시아공동체학교 박효석 상임이사가 적극적인 투자로 2006년 설립하고, 9개국 40명이 수업을 듣고 있는 부산 아시아공동체학교는 대안학교의 좋은 사례다. 다문화 가정은 계속 늘어날 것이다. “더 좋은 교육을 위해 학력 인정이 마지막 소원”이라는 박 이사의 말처럼 이들 가정의 자녀들이 우리사회에 순조롭게 적응할 수 있게 국가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