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창희 시빅뉴스 칼럼] 낙동강의 선물과 복수
상태바
[박창희 시빅뉴스 칼럼] 낙동강의 선물과 복수
  • 논설주간 박창희
  • 승인 2022.09.19 09: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여름 녹조에 골병 든 낙동강
맹독성 마이크로시스틴 건강 위협
보를 열어야 하나 관리수위가 발목
강은 인간사의 거울... 재자연화가 해결책

역대급 태풍 ‘힌남노’가 낙동강 녹조 사태를 해결해주리라는 기대는 순진했다. 녹조에 찌든 강 속을 태풍이 ‘거국적으로’ 뒤집어놓을 줄 알았건만, 그렇지 않은 모양이다. 제14호 태풍 ‘난마돌’에게 한방을 기대하지만 그것도 녹록치 않다. 가을바람이 불지만 강은 여전히 고수온이고 녹조를 없앨 이렇다할 정책수단도 보이지 않는다.

#태풍도 어쩌지 못하는 낙동강 녹조

올 여름 낙동강은 골병이 들대로 들었다. 4대강 사업 이후인 2012년부터 시작된 낙동강의 녹조 사태는 10여년째 반복됐고 올해 최악을 기록했다. 낙동강 본류 취수장 곳곳에서 붉은 깔따구가 발견됐고, 강물을 끌어쓴 농작물에서 맹독성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됐다. 급기야 정수 처리한 수돗물에서도 마이크로시스틴이 나와 충격을 주고 있다. 마이크로시스틴은 세계보건기구가 지정한 발암물질이자, 청산가리 100배 가량의 독성을 지닌 맹독 물질로 인지장애, 치매 등을 유발한다. 인류가 통제할 수 없는 무시무시한 물질이다.

낙동강 녹조의 가장 큰 원인은 보(洑)라는 게 일반적 분석이다. 4대강 사업 이후 낙동강 본류는 기존 하굿둑과 8개의 보로 아홉 동강이 났다. 용수 확보를 위해 만든 보가 흐름을 막자 고인 물이 썩기 시작했다. 2012년부터 낙동강은 매년 여름철이면 거대한 '녹조라떼' 생산공장으로 변했다.

#붉은 깔따구가 말해주는 것

강이 오염되자 붉은 깔따구들이 설치기 시작했다. 붉은 깔따구는 4급수 수질오염 지표종으로 천식, 아토피성 질환을 유발한다. 이 놈들이 발견됐다는 것은 수질이 4급수로 최악이라는 뜻이다. 지난 7월 창원시의 가정집 수돗물에서 붉은 깔따구 유충이 발견됐고, 대구 매곡취수장 부근에서도 유충이 다량 확인됐다. 낙동강 본류의 수질이 그만큼 나빠졌다는 신호다. 

녹조가 창궐하는 데도 우리 나라는 아직 농업용수와 농산물에 대한 녹조 독소의 잔류기준이 없다. 녹조 관리의 허점이다. 부경대 이승준 교수팀이 지난 7~8월 낙동강 원수를 쓰는 수돗물 표본을 채취해 조사한 결과, 부산 수영구, 김해 내동, 창원 진해구, 대구 수성구·동구 등 6개 지점에서 미 캘리포니아주 환경건강위험평가국(OEHHA)이 정한 식수 허용기준을 초과한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됐다. 국내 기준이 없으니 미국 기준을 들이댄 것이지만, 주민들의 불안감이 커질 수밖에 없다. 수돗물로 씻는 생활용수는 어쩔 것이며, 단체급식에 쓰는 식재료와 밥상은 무탈하다 할 것인가.

지난 3월엔 낙동강 주변에서 재배한 쌀·배추·무에서도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됐다. 성인이 낙동강 녹조쌀을 하루 300g 섭취하면 OEHHA의 생식독성 기준을 8.83배 초과한다는 연구결과도 나왔다. 이는 지난 10여년간 누군가는 독성이 스며든 밥과 김치를 먹어왔다는 이야기가 아닌가. 환경단체들은 "지금 당장 ‘4대강 녹조건강 영향 조사’를 벌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녹조라떼'라는 별칭을 얻은 낙동강의 녹조 사태. 여기서 검출된 맹독성 마이크로시스틴이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사진 출처: 대구환경운동연합 홈페이지).
'녹조라떼'라는 별칭을 얻은 낙동강의 녹조 사태. 여기서 검출된 맹독성 마이크로시스틴이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사진 출처: 대구환경운동연합 홈페이지).

#보 관리수위가 개방 발목 잡아 

녹조를 없애거나 줄이는 최선의 대책은 보는 여는 것이다. 하지만 4대강 사업때 채운 족쇄 아닌 족쇄로 이마저 마음대로 열고 닫을 수 없다. 4대강 사업 때 이설·보강한 취수·양수장의 취수구 높이는 보 수문을 닫아 물을 가득 채웠을 때의 수위인 관리수위에 맞춰져 있다. 보 수문을 열어 수위를 조금이라도 낮추면 취수구가 물 밖으로 드러나 강물을 끌어올릴 수 없다. 수문을 임의로 열 수 없도록 한 아주 고약한 선택이다.

현 상태에서 취·양수 시설을 개선하려면 수천 억원의 예산이 필요하다고 한다. 낙동강 수계에는 시설 개선이 필요한 취수장 18곳과 양수장 114곳이 있다. 환경부는 올해 신규 사업 예산 274억 원을 배정했으나 추진이 될지는 미지수다. 문재인 정부의 공약이었던 ‘4대강 재자연화’에 대해 현 정부가 미온적이거나 부정적으로 보기 때문이다. 윤 대통령은 후보 시절 “4대강 사업을 잘 지키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이래저래 낙동강만 치이는 형국이다.

#강을 통제하려는 오만함 

낙동강 녹조라떼 현상은 그냥 둬서는 안될 심각한 위기 신호다. 녹조에 찌든 강물은 농작물로 스며 들고 수돗물로 공급되어 인체에 파고든다. 수돗물을 마시는 순간이 독배라는 걸 알아채는 사람은 거의 없다. 드라마의 복수극은 대개 독배에 복선을 깔아둔다. 독배를 알아채지 못하게 해 놓고 상대를 공격해 독이 배어들게 한다. 낙동강 녹조사태를 보면서 복수극을 생각한 건 지나친 상상인가.

낙동강은 그동안 영남의 주민, 나아가 한민족 전체에 무한의 혜택과 절대적 생명의 원천으로 유구한 시간을 흘러왔다. 영남 주민들은 하루 하루를 낙동강의 기적과 더불어 산다. 내일의 희망도 강에서 피어난다. 낙동강 없는 영남의 삶은 상상할 수 없다. 낙동강에서 가야·신라 문화가 태동하고, 조선의 유학이 발원했으며, 조국의 근대화 산업화 민주화가 가능했다. 이런 강을 우리는 막 대하면서 은혜로움을 잊고 오염시켰다. 강은 인간사의 거울이다. 강이 병들면 사람도 병든다. 강을 통제하려는 오만함이 시방 맹독 녹조사태를 야기한 주범일 것이다.

맹자에 ‘순천자존 역천자망(顺天者存 逆天者亡)’이란 말이 나온다. 하늘을 순종하는 사람은 살아남고 하늘을 거스르는 사람은 망한다는 뜻이다. 낙동강은 하늘이다. 하늘의 뜻은 명료하다. 강은 흘러야 하고 흐를 때 비로소 강이라는 것. 시간이 흘러도 변할 수 없는 가치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