킥보드 ‘헬멧’ 의무화는 위기인가, 기회인가?...업계 대처 능력에 달렸다
상태바
킥보드 ‘헬멧’ 의무화는 위기인가, 기회인가?...업계 대처 능력에 달렸다
  • 취재기자 정은희
  • 승인 2021.05.03 15: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3일부터 ‘도로교통법 개정안’ 시행
‘헬멧’ 착용 의무, 이용자와 업계 난색
‘공용? 개인 용?’ 딜레마 속 대응 모색

최근 ‘도로교통법 개정안’ 시행에 따라 헬멧 착용이 의무화되면서 킥보드 공유 업체와 이용자 모두 난색을 보이고 있다. 특히 헬멧 착용 시행법을 따르면서 시장 점유율을 지키려는 업체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개정 법 시행이 임박하면서 코로나19 속 헬멧 파손, 분실 등 여러 가지 문제를 고려하면 업체 측에선 큰 고비를 맞은 셈이다.

최근 ‘도로교통법 개정안’ 시행에 따라 ‘안전’을 위한 전동 킥보드 사용 법이 강화돼 오는 13부터 시행된다(사진: Civic news 영상기사 캡처).
최근 ‘도로교통법 개정안’ 시행에 따라 ‘안전’을 위한 전동 킥보드 사용 법이 강화돼 오는 13부터 시행된다(사진: 시빅뉴스 DB).

지난해 12월 국회를 통과한 두 번째 개정 도로교통법은 전동 킥보드를 타려면 원동기장치 자전거 이상 면허를 소지해야 하고 하나의 기기에 2명 이상 탑승해선 안된다는 내용 등을 담고 있다. 이 법은 이번달 13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법은 면허가 없어도 전동 킥보드를 탈 수 있으며 킥보드도 자전거 도로에서 주행할 수 있게 하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앞으로 시행될 법은 이용자가 킥보드를 타면서 지켜야할 사항들이 주를 이룬다.

이달 13일부터 ‘도로교통법 개정안’ 시행에 따라 전동 킥보드의 △무면허 운전 △헬멧 미착용 △2인 탑승 등이 법으로 금지된다. 이에 따른 범칙금도 강화된다. 무면허 운전 시 범칙금 10만 원, 헬멧 미착용은 2만 원, 2인 탑승은 4만 원이다.

전동 킥보드는 화석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은 ‘친환경 모빌리티’ 차량으로 가기 어려운 지역을 연결하는 ‘라스트 마일’(last-mile) 이동 수단으로 전국에 자리 잡았다. 관련 업계에선 서울에만 약 5만 대이고 전국적으론 7만~8만 대의 공유 킥보드가 운영 중이다.

그러나 업계에 따르면, 다음 달 시행되는 개정안에 따라 매출의 20~30%가 감소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공유 킥보드 업체들이 우려하는 대목은 헬멧(안정 장비) 착용이다. 이용자 대부분이 헬멧 착용을 꺼리기 때문이다.

평소 킥보드를 자주 이용하는 정 모(27) 씨는 “킥보드 하나 타려고 개인 헬멧을 구매해 가지고 다니는 것은 불편해서 킥보드 사용이 줄어들 것 같다”며 “그렇다고 비치된 공용 헬멧을 쓰자니 위생상 꺼려진다”고 말했다.

실제 지난 2018년 자전거 헬멧 착용이 의무화됐을 당시 서울시가 공공자전거 ‘따릉이’에 도입한 공용 헬멧의 이용률은 3%에 불과했다. 이처럼 업계 측은 헬멧이란 큰 산을 만나 난감한 처지다. 이용자에게 헬멧 착용을 무리하게 강조했다간 전동 킥보드가 외면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해당 시장이 확대되며 개인형 모빌리티가 한층 성장하기 위해선 안전 문제는 중요하므로 업계 측은 우선 해당 법안에 따르겠다는 입장이다.

헬멧에 대한 업계 대응은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킥보드에 헬멧을 부착하는 방식이다. 지난 3월 국내 진출한 글로벌 공유 킥보드 업체 ‘뉴런 모빌리티’가 유일하게 킥보드 자체에 헬멧을 비치하고 있으며 앱 제어식 헬멧 장금 장치를 도입하기도 했다. 일부 업계는 뉴런식 모델을 참고해 대응을 하려는 입장이다.

반면에 공용 헬멧 대신 이용자의 개인 헬멧 구매를 돕는 업체도 있다. 해당 업체들은 크라우드 펀딩 등 방법을 통해 이용자에게 저렴한 가격에 헬멧을 공급하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 코로나19 문제로 위생 상 헬멧을 비치하는 것보다 이용자들의 개인 헬멧 구매를 돕는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렇듯 업계는 헬멧 착용을 유도하되, 킥보드 이용률은 유지하기 위한 대응을 고심하고 있다. 전동 킥보드가 안전한 이동 수단으로 성장하기 위해선 헬멧 착용이 필수이기 때문. 이들의 대처 능력에 따라 업계 시장 점유율은 차이가 벌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전문가들은 “헬멧 의무화는 안전과 직결된 부분인 만큼 정부와의 타협으로 해결할 부분이 아닌 것 같다”며 “이를 계기로 위기를 맞을지, 기회로 삼을지는 업체의 대처 방식에 달려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