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료계 강 대 강 대결, 무고한 국민들만 죽어나나?
상태바
정부-의료계 강 대 강 대결, 무고한 국민들만 죽어나나?
  • 취재기자 안시현
  • 승인 2020.08.31 16: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산 응급환자, 울산까지 가서 치료받다 끝내 사망
국민 여론 갈수록 악화... 정부-의료계 해결책 찾아야

지난 27일, 의료계 파업으로 인해 부산의 응급환자가 부산에서 치료받지 못하고 울산까지 가서 치료를 받았지만 사망하는 사건이 있었다. 누리꾼들은 “더 이상 남 일이 아닌 것 같다”며 파업에 참여하느라 생명을 살리지 못한 의사를 비판했다. 부산시에 따르면, 당시 부산지역 전공의 87%가 파업에 참여했다고 한다.

이에 대해 파업에 동참한 의사 측은 “무고한 사람이 희생되는 결과는 누구도 바라지 않지만 정부가 국민의 목숨을 담보로 잡고 의사들을 압박하고 있다는 것이 문제"라며 자신들의 목소리를 들어달라고 요구했다.

의대생 증원 정책에 반발해 일어난 의료계 제2차 파업은 29일 끝났다. 하지만 대한전공의협의회는 투표를 통해 계속 파업을 강행하기로 해 정부와 의료계의 충돌은 계속될 전망이다.

상황이 이처럼 정부와 의료계의 강 대 강 정면 충돌로 이어지자, 애꿎은 국민들만 피해를 보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고래 싸움에 새우등 터진 꼴이다. 특히 파업으로 무고한 국민이 응급실을 가지 못해 사망하는 사건이 알려지자, 많은 국민들이 파업에 우려의 눈길을 보내고 있다. SNS나 보건복지부 게시판 등에는 "파업으로 휴진한 개인병원은 가지 말자"라거나, “파업에 참여한 전공의에게는 커피를 팔지 않겠다”는 시민 의견이 오르고 있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서도 의료 파업은 '뜨거운 감자'다. 해당 청원에서는 “의사들이 자신의 기득권 강화를 위해 파업을 강행한다”면서 의사들의 면허 정지 내지는 면허 취소를 요구했다. 또 다른 청원에서는 “코로나19로 나라가 비상사태인 와중에 의사들은 제 밥그릇 챙기기 급급하다”고 강한 어조로 비판했다.

정부의 공공의대 정책 전면 철회를 청원하고 있다(캡처: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 캡처).
청와대 게시판에 정부의 공공의대 정책의 철회를 청원하는 글이 올랐다(사진: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 캡처).

하지만, 이런 비판 청원만 있는 건 아니다. 정부에 의대생 증원 및 공공의대 정책 철회를 요구하는 청원도 올라온 것이다. 이와 함께, 의사 파업 사태를 초래한 보건복지부 박능후 장관을 파면시켜달라는 청원도 게시됐다. 청원 중에는 자신이 의사임을 밝히며 어려운 의료 환경을 토로하고 이해를 구하는 내용도 있다.

SNS 등에서도 의견 충돌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 의사 입장을 옹호하는 한 누리꾼은 의사들이 게시한 유튜브 영상을 공유하고, SNS에서 의사 파업을 비난하는 사람들과 설전을 벌였다. 어떤 네티즌은 “청원 게시판의 글과 뉴스의 여론조작이 조직적으로 이뤄진 것 아니냐”는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다.

의과대, 의학전문대학원 학생회장들이 '덕분이라며 챌린지'에 참여했다 (사진: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
의과대, 의학전문대학원 학생회장들이 '덕분이라며 챌린지'에 참여했다(사진: 대한의과대학, 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

한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대의협)가 실시한 ‘덕분이라며 챌린지’는 농인들의 언어인 수어 비하의 여지가 있고 코로나 극복 응원을 담은 ‘덕분에 챌린지’를 비꼬았다는 지적을 받으며 공분을 샀다. 결국 대의협은 농인들에게 사과 후 해당 손 모양을 사용하는 챌린지를 중단했다. '덕분에 챌린지'는 코로나19 최전방에서 일하는 의료진의 헌신에 존경과 감사의 뜻을 전하는 캠페인이다.

국회도 나서서 공공의대와 의대 정원 증원에 대한 법안 재검토를 약속하는 등 중재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정부 측은 관련 정책 백지화는 어려우며 코로나 시국 종료 후로 협의하자는 입장이어서 의료계와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정부와 의료계의 대치가 지속되는 가운데, 언제 자신이 응급환자가 될지 모르는 국민들은 조마조마하게 가슴 졸이며 사태를 지켜보고 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