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18일 오전 10시 순안공항에...'2018 평양 정상회담' 막 올랐다
상태바
문 대통령 18일 오전 10시 순안공항에...'2018 평양 정상회담' 막 올랐다
  • 취재기자 신예진
  • 승인 2018.09.17 23: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남북 정상회담서 첫 '비핵화' 논의 가능성..."북한과 미국 의지 여러 차례 확인, 평화의 길 열릴 것" / 신예진 기자

남북한 국민들의 염원이 담긴 평화가 한반도로 성큼 다가왔다. 제3차 정상회담이 18일부터 2박 3일간 평양에서 열린다.

임종석 대통령비서실장은 17일 서울 중구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 마련된 ‘2018 남북정상회담 평양’ 서울프레스센터에서 브리핑을 갖고 남북 정상회담 일정과 주요 진행 상황을 발표했다. 임 실장은 남북 정상회담 준비위원장이다.

문 대통령은 18일 오전 8시 40분 수행원들과 성남 공항을 출발한다. 별도의 행사는 없다. 이후 1시간 30여 분이 지난 오전 10시께 평양국제공항 순안공항에 도착한다. 공항에서 북측이 준비한 공식 환영 행사로 일정을 시작한다.

남북 정상은 오찬 후 첫 정상회담을 진행한다. 회담이 진행되는 동안 김정숙 여사는 아동병원과 음악종합대학을 참관할 예정이다. 특별 수행원들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을 만나고, 경제인들은 내각 부총리와 대담하는 시간을 갖는다. 남북 정상의 회담이 종료된 늦은 오후 남북은 환영 예술 공연을 관람한다. 이어 준비된 환영 만찬을 즐기며 첫날 일정을 마무리한다.

19일 둘째 날 오전에도 정상회담이 진행된다. 청와대는 이날 남북 간 군사 부문 합의를 이끌어내길 기대하고 있다. 해당 합의에는 그간 논의해온 긴장 해소와 무력 충돌 방지 등의 내용이 담길 것으로 보인다. 임 실장은 “회담이 원만하게 진행된다면 오전 회담 후 합의 내용을 발표하는 공동기자회견도 가능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기대 중”이라고 밝혔다. 이날 오찬은 대동강변의 옥류관에서 가진다.

이날 오후에도 회담이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현지에 가있는 선발대가 세부 일정을 조정 중이다. 저녁에는 환송 만찬이 계획됐다. 식당이 구체적으로 정해지지 않았지만 평양 시민들이 자주 가는 식당에서 만찬을 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임 실장은 “문재인 대통령은 해외 순방 시에 현지 주민들이 자주 가는 식당을 늘 가시곤 했다. 부탁을 북측에 해 두었다”고 설명했다.

20일 마지막 날은 오찬은 예정돼 있지 않다. 공항에서 환송 행사를 마치고 오전에 서울로 돌아오겠다는 계획이다. 다만, 정상 간 친교 일정이 생긴다면 귀경 일정도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17일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 참여해 미소를 짓고 있다(사진: 청와대 제공).

이번 정상회담의 의제는 크게 세 가지다. 청와대는 ▲남북관계 개선 발전 ▲비핵화를 위한 북미대화 중재 및 촉진 ▲남북 간 군사적 긴장과 전쟁 위협 종식 등을 꼽았다. 특히 임 실장은 남북 정상이 하게 될 비핵화 논의를 강조했다. 과거에는 비핵화가 남북 정상 간 의제로 된 적이 없다. 그야말로 ‘최초’다. 2000년 정상회담 때는 비핵화 의제가 국제사회서 공론화되기 전이었다. 2007년 노무현 전 대통령 방북 때는 6자회담을 통해서 비핵화 의제가 합의된 이후였다. 당시 남북 간에는다른  실질 의제에 대한 회담이 이뤄졌다.

임 실장은 "얼마 전까지만 해도 비핵화 의제는 북미 간에 다뤄졌다“며 ”우리가 비핵화 문제를 꺼내는 데 대해 북미도 달가워하지 않은 상황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러나 지금은 비핵화가 (남북정상회담에서) 매우 중요한 중심 의제가 돼 있다"면서 ”두 정상 간에 얼마나 진솔한 대화가 이루어지느냐에 달렸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 역시 이날(17일)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비핵화 문제를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김 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진정한 의지를 여러 차례 확인했다"며 "대화의 물꼬가 트이고 두 정상이 다시 마주 앉는다면 비핵화 문제가 빠른 속도로 진척될 수 있으리라고 믿는다"고 기대감을 보였다.

문 대통령은 이어 ‘한반도의 평화’를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정상회담을 통해) 제가 얻고자 하는 것은 평화”라며 “국제정세에 따라 흔들리는 임시적 변화가 아니라 국제정세가 어떻게 되든 흔들리지 않는, 그야말로 불가역적이고 항구적인 평화"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항구적 평화체제 구축이야말로 남북이 국제정세에 휘둘리지 않고 한반도 문제의 주인이 되는 길이자, 경제적 공동 번영과 통일로 나아가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