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시민·노동단체, 광복절 맞아 징용노동자상 앞세우고 일본영사관 거리 행진
상태바
부산 시민·노동단체, 광복절 맞아 징용노동자상 앞세우고 일본영사관 거리 행진
  • 취재기자 백창훈
  • 승인 2018.08.15 23: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주노총 “전쟁범죄 저지른 일본 아직 사죄 않아” 비판...9월 강제징용노동자상 설치 재시도 / 백창훈 기자
부산 민주노총 부산본부와 적폐청산사회대개혁 운동본부 회원 등 500여 명이 광복절인 15일 일본영사관 주위를 행진하고 있다(사진: 취재기자 백창훈).

민주노총 부산본부와 적폐청산사회대개혁 운동본부 등 500여 명의 시민단체가 15일 광복절을 맞아 부산 일본영사관 주위를 행진했다.

민주노총 부산본부와 적폐청산사회대개혁 운동본부 등 전국 각지의 시민·노동단체들은 이날 오전 11시 부산 동구 초량동 일본영사관 인근 정발 장군 동상 앞에 모여 ‘강제징용노동자상 건립 및 한일군사협정 폐기 촉구’ 결의대회를 열었다.

애초에 이날 이들은 일제로부터 강제 노동을 착취당한 우리의 선조들을 기리기 위해 만들어진 강제징용노동자상을 일본영사관 앞에 설치하려고 했으나 더운 날씨로 인해 설치는 9월경으로 미루고 일본영사관 거리를 행진하는 것으로 마무리했다.

집회에 모인 이들은 전쟁에 대한 사과와 피해보상은 뒤로한 채 매년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하는 일본을 규탄함과 동시에 촛불집회로 탄생한 문재인 정부의 개혁 부진에 대해서도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광복절을 맞아 15일 11시 부산 동구 초읍동 일본영사관 인근 정발 장군 동상 앞에서 '강제징용노동자상 건립 및 한일군사협정 폐기 촉구'결의대회가 열리고 있다(사진: 취재기자 백창훈).

권종오 민주노총 중앙통일선봉대장은 “1970년 12월 당시 서독에 총리였던 빌리 브란트는 전쟁 피해국을 찾아가 독일의 전쟁범죄를 참회했다. 그러나 같은 전범국인 일본은 지난 70년 동안 단 한 번도 제대로 된 사과는커녕 피해보상도 하지 않았다”며 “일본이 사과를 거부하고 자신의 침략역사를 정당화하는 그 배후에는 위안부 합의를 졸속으로 강요하고 한일군사보호협정을 강요한 미국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권 대장은 “일본은 계속해서 침략의 역사를 부정하고 있다. 그런 일본의 영사관 앞에 우리의 슬픈 역사를 가진 동상을 세우겠다는데 왜 정부는 일본의 눈치를 보는가”라고 말했다. 이는 지난 5월 1일 근로자의 날을 맞아 부산지역 시민단체가 일본 영사관 앞에 강제징용노동자상 설치를 시도했다가 외교적 결례라는 이유로 설치를 저지한 외교부를 향한 비난으로 추측된다.

적폐청산사회대개혁부산운동본부의 장선화 대표는 “노동자상은 단순한 조형물이 아닌 70년이 넘도록 온전한 해방을 맞지 못한 역사를 바로 세우고 주권을 바로 세우는 것”이라며 “반드시 일본영사관 앞 소녀상 옆에 동상을 세우겠다”고 강조했다.

대회를 주최한 민주노총 부산본부장과 함께 경남, 울산, 대구 본부장들의 결의문 낭독도 이어졌다. 한 본부장은 “우리에게 잔혹한 범죄를 저지른 일본은 사과하지 않는다. 피해자가 사과 한마디 듣지 못하고 눈감아야 하는 오늘의 역사는 계속되고 있다”면서 “오늘날의 광복은 누구에게 빛을 가져다주었는가”라고 말했다. 이어 또 다른 본부장은 “우리는 촛불혁명, 남북 전 국민들의 힘을 모아 이 땅에 진정한 자주권을 되찾는 그 날까지 투쟁을 멈추지 않을 것이다”고 말했다.

결의문 낭독이 끝나자, 시민단체들은 "일본군 위안부 합의 즉각 파기해라", "한일군사보호협정 즉각 폐기하라", "강제징용노동자상 반드시 건립하자" 등의 구호를 외치고 일본영사관을 주위를 에워싸며 600m가량 행진했다.

행진 막바지에는 시민단체들이 일본영사관 후문을 향해 물풍선을 던지며 항의를 표시했다. 시민들은 물풍선이 일본영사관 담벼락 안으로 들어갈 때마다 박수를 치며 환호성을 지르기도 했다.

만일의 사태를 대비한 경찰은 12개 중대를 일본영사관 주위에 배치했다(사진: 취재기자 백창훈).

경찰은 이날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 의경 등 12개 중대를 일본영사관 주위에 배치했고, 결의대회는 경찰과 별다른 마찰 없이 이날 낮 12시 30분쯤 종료됐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