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피해 줄이는 유일한 방법은 신속한 분석과 조기 경보” / 김지현 기자
상태바
“지진피해 줄이는 유일한 방법은 신속한 분석과 조기 경보” / 김지현 기자
  • 취재기자 김지현
  • 승인 2017.12.09 06: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산기상청 이전희 사무관 "7월부터 통보서비스 대폭 개선"..."부산도 지진 안전지역 아니다"

지난 달 15일 발생한 포항 지진 당시, 기상청은 지진 발생과 거의 동시에 재난 문자를 전송해 국민들의 칭찬을 받았다. 빨라진 지진 재난 문자는 지난 7월 개선된 지진 통보 서비스 덕분이었다. 시빅뉴스는 지난 6일 부산기상청 이전희(54) 기상사무관을 만나 달라진 지진 통보 시스템에 대해 자세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부산기상청 이전희 기상사무관이 시빅뉴스와 인터뷰하고 있다(사진: 취재기자 김지현).

개선된 지진 통보시스템으로 한층 빨라진 지진 재난 문자

기상청은 올해 7월부터 지진 통보 서비스를 대폭 개선해 신속한 정보 전파 체계를 확립했다. 지진은 발생시 P파와 S파 두 종류의 파동이 나타난다. 개선된 지진 통보 서비스의 핵심 기술은 지진에서 나타나는 P파와 S파의 특성을 이용한 분석 방법이다. 

이 사무관은 “P파는 속도가 빨라 먼저 도착하지만 진폭이 작아 충격은 별로 크지 않다. 반면 S파는 속도가 느리지만 진폭이 커서 피해가 생길수가 있다”며 “개선된 지진 통보 시스템은 P파의 지진을 분석해 S파가 도착하기 전에 시민들이 대처할 수 있게 하는 원리”라고 말했다.

개선된 지진 통보 서비스는 신속 정보와 상세 정보로 나뉜다. 신속 정보는 지진 조기 경보와 지진 속보로 정확성보다는 신속성에 초점을 두고 있다. 지진 조기 경보는 규모 5.0이상의 지진이 올 때 15~25초 사이, 지진 속보는 3.5이상 5.0미만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을 때 60~100초 사이에 발표된다. 상세 정보는 지진 발생 후 5분 이내에 정확한 내용을 담아 제공된다. 

이 사무관은 “정보가 아무리 정확해도 지진이 끝나고 난 뒤에는 의미가 없다. 그래서 신속 정보를 통해 빠르게 국민들에게 지진 속보를 보내는 것이 중요하다”며 “신속 정보와 상세 정보 간 오차가 없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현실적인 기술의 문제로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오차를 줄이려면 분석 소프트웨어를 개선하고, 전국 곳곳에 조밀한 관측망을 갖출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기상청은 지진 통보 서비스를 개선하면서 지진 진도 서비스도 시험 운영하고 있다. 진도는 지진 발생했을 때 지면이 흔들리는 정도를 등급으로 나눈 수치로, 위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지진 진도 서비스는 진도 값을 계산해 예상 진도, 계기 진도로 나눠 국민들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다. 예상 진도는 신속 정보로 이론적 감쇠식(減衰式: 진앙거리에 따라 지진파의 진폭이 줄어드는 정도를 측정하는 계산식)을 통해 위치에 따라 진도를 추정한 것이다. 계기 진도는 상세 정보로 실제로 지진의 진동값을 이용해서 측정한 진도다. 그래서 지진이 다 끝난 뒤에야 발표가 가능하다.

이 사무관은 “예상 진도는 감쇠식을 통해 추측한 것이어서 실제 계기 진도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현재 그 차이를 줄이는 작업이 진행 중”이라며 “예상 진도와 계기 진도의 값을 가깝게 만들어 내년에는 국민들에게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지진 통보시스템이 올해 7월에서야 개선된 것은 신속 정보 제공에 필수적인 선진적 분석 시스템 기술이 뒷받침돼야 했기 때문이다. 분석 시스템을 선진화하려면 조밀한 관측망이 필요하다. 이 사무관은 “2015년부터 지진 조기 경보를 시행하면서 지진 통보 서비스에 대한 장기 계획을 진행해왔다. 2년 가까이 분석해온 결과 올 7월부터는 개선된 서비스가 가능하다고 판단해서 시행을 하게 됐다”며 “전국에 조밀한 관측망을 설치하는 사업은 상당한 예산이 필요하기 때문에 결국 예산의 문제도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우리나라의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이 다른 나라에 비해 뒤쳐지지 않는다고 역설했다. 현재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은 일본, 대만, 터키, 멕시코, 루마니아,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운영되고 있다.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을 추진 중인 나라는 미국, 스위스 이탈리아 등이 있다. 미국의 조기 경보 시스템은 정식으로 국가에서 운영하는 게 아니라 연구용으로 시험 중에 있다. 이 사무관은 “세계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 현황을 보면 우리나라의 상황이 떨어지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며 “앞으로 더 조밀한 관측망과 분석 시스템을 갖춰 잡음을 지진으로 판정하는 오류를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유관 기관과 연계 체계 강화, 지진 정보 전파 체계 확립할 터”

부산기상청은 올해 4월 부산시청, 부산시 교육청과 긴급 재난 업무 협약을 맺었다. 이는 전국 최초의 재난 조기 경보 협업 체계다. 기상청은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이 탐지한 지진 경보를 부산시 ‘원클릭 재난 상황 전파 시스템’에 즉시 전달할 수 있도록 행정적·기술적 지원을 하고 있다.

또한, 기상청은 한국수력원자력을 비롯해 국립해양조사원, 한국가스공사, 한국농어촌공사, 한국전력공사 등 유관기관과 지진·지진 해일 및 화산활동 관측기관 협의회를 조직해 여러 가지 내용을 협의하고 있다. 이 사무관은 “원전을 비롯해서 유관기관에 자체적인 관측망을 운영하고 있고, 기상청으로부터 자료를 수신하고 있다”며 “지진·지진 해일 및 화산 활동 관측기관 협의회를 통해 분기별로 1회씩 정기적으로 협력 회의를 열고 있다”고 말했다.

이전희 기상사무관이 포항 지진 당시의 지진파를 설명하고 있다(사진: 취재기자 김지현).

“부산도 지진 안전 지역 아니다...더 조밀한 관측망 필요”

이 사무관은 학술적인 연구가 더 필요하지만 부산도 지진에 안심할 수 없는 지역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양산단층이 활성화되었는지는 현재 조사가 진행 중이지만 사실 지진은 어디서나 발생할 수 있다”며 “지진은 미리 알 수 없기 때문에 빨리 분석을 해서 통보를 하는 것이 피해를 줄이기 위한 유일한 길”이라고 말했다.

현재 기상청은 전국에 54개의 지진 관측소 설치 작업이 진행 중이다. 내년에도 전국에 54개를 설치하면 총 314개의 관측망이 구축된다. 부산기상청에서 관할하는 부산, 울산, 경남에는 현재 20개의 관측소가 있고, 12개를 새로 설치하고 있다. 이 사무관은 “전국에 314개의 관측소가 설치되면 기본적인 조밀한 관측망 구축은 어느 정도 완료되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부산, 울산, 경남지역도 올해 말 또는 내년에 32개의 관측소가 되는데, 그렇게 되면 지진의 오차를 점점 줄일 수 있을 것”고 말했다.

이 사무관은 부산기상청의 목표가 향후 부산, 울산, 경남 지역의 지진관측소를 더 조밀하게 설치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지진에 대한 분석 및 통보는 본청 지진화산센터에서 진행된다. 부산기상청은 관할 지역인 부울경 지역에 조밀하게 지진관측소를 설치하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또한, 관할 지역 주민들에게 지진에 대한 교육, 홍보를 진행해 정보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기상청에서 긴급 재난 문자라든지 기타 통보 시스템으로 정보를 주는데, 국민들이 활용하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다”며 “재난 문자를 스팸으로 여기지 말고 이 정보를 활용해 재난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많은 협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서울 출신인 이전희 기상사무관은 1998년 서울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2000년 기상청에 입사했다. 이 사무관은 2017년 1월 부산기상청으로 발령을 받아 현재 관측과에서 근무하고 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